인터넷 종량제 반대 1000만인 서명운동 > 자유게시판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자유게시판

인터넷 종량제 반대 1000만인 서명운동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지나가다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11.♡.200.135)
댓글 5건 조회 557회 작성일 04-04-11 13:31

본문

서명하러 가기 → http://bcpark.net/sign/sread2.html?num=7

이미 kt는 내년부터 하나로 통신은 올 하반기 부터 시행 한다고 합니다.
.
포탈 싸이트 뉴스 검색을 해보시면 인터넷 종량제에 관한 기사가 많이 나와 있습니다.
작년부터 떠돌던 사실들이 확정이 되어 버렸네요
강력한 대응이 있어야 합니다.
------------------------------------------------------

모르시는 분을 위해 알려드립니다.
조금 긴글 이지만 한번 읽어 보세요
그리고 정보통신부에 글 한번씩 남겨주세요

탄핵정국을 틈타 KT 하나로통신등 업체에서 종량제 인터넷 사용으로 전환하려 하고 있습니다.

빠르면 올해 6월 늦어도 내년 7월 전면 개편한담니다.

하나로에 다니는친구에게 물어본결과 이미 준비중이람니다.


KT가 실시하겠다고 한 종량제 가격
기본료+패킷별 사용료
-----------------------------------------------
1) 패킷별 요금방식
상품명 | 기본료 | 평균속도 | 제공패킷 | 제공패킷초과시
DSL 800 | 35,000원 | 1.0M/512K | 800,000 | 0.100원/패킷
DSL 1500 | 60,000원 | 2.0/1.0 | 1,500,000 | 0.080원/패킷
DSL 3000 | 100,000원 | 6.0/2.0 | 3,000,000 | 0.070원/패킷
DSL 4500 | 150,000원 | 10.0/6.0 | 4,500,000 | 0.060원/패킷
DSL 6000 | 250,000원 | 10.0/6.0 | 6,000,000 | 0.035원/패킷

2) 시간별 요금방식
상품명 | 기본료 | 평균속도 | 제공시간 | 제공시간초과시
DSL Lite | 30,000원 | 1.0M/512K | 600분 | 150원/30초
DSL Pre | 60,000원 | 2.0/1.0 | 800분 | 100원/30초
DSL DX | 90,000원 | 6.0/2.0 | 1,200분 | 80원/30초
DSL R | 120,000원 | 10.0/6.0 | 1,600분 | 50원/30초

=================================================
상품명 | 기본료 | 평균속도 | 제공시간 | 제공시간초과시
DSL Lite | 30,000원 | 1.0M/512K | 600분 | 150원/30초

만약 상품명 DSL Lite를 사용한다면.... 계산해봤습니다
*전하루 인터넷 10시간켜져있음*

★제공시간 초과시 사용료
30초에 150원 1분에 300원 60분에 18000원 10시간에 180000원

제공시간 600분 첫날 다쓰고 나머지 30일 X 18만원

추가로 540만원 나오네요-_-a GG선언
기본료3만원 추가사용료540만원 월 543만원



위 써비스는 기본료 3만원의 써비스이고

기본료1만원에 패킷당요금제로 바꾸는방안인 확실시 되고 있습

이경우 엄청난 통신료가 발생됨



최근 ISP(kt,하나로등) 업체들이 EBS 수능강의로 인해 엄청난 트래픽이 유발되어 관련장비를 추 가로 설치해야 할 상황이라며 인터넷서비스 이용요금제를 종량제로 추진한다고 하고 이에 정통부 는 맞장구를 치고 있다는 뉴스기사를 보고는 정말 어이가 없습니다.

수능강의 관련 뉴스를 들어보면 EBS수능강의를 이용할 사용자는 10만명정도가 될것이라는데 우리 나라 인터넷 사용인구는 1천만명정도라 알고 있습니다. 그럼 그 1천만명중에 10만명이 조금더 인터넷을 사용한다고 해서 트래픽을 발생시킨다고 해봐야 얼마나 더 시키겠습니까?

ISP업체들은 EBS 수능강의를 빌미로 인터넷이용요금을 인상하려는 얕은술수를 중단해주시고 또 정통부도 그들의 농간에 놀아나지 말았으면 합니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건 10만명 때문에 왜 990만명이 이용요금을 더 내야 한다는겁니까? 정통부는 도대체가 생각이 있는겁니까? 없는겁니까?

기본료 1만원에 패킷1M당 백원 인터넷에서 300K 동영상 하나 보는데 3천원

일단 제일 큰 타격이 무엇일까요? e-Biz입니다.

예를 들어 쇼핑몰을 생각해보죠. 고객이 제품을 구매하기 위해서 보여줬던 여러가지 테크닉들을 생각해보죠. 단순히 빅 사이즈의 샘플이미지라든가, 제품에 대한 코멘트부분들 이 모든 것들이 돈이라는 겁니다.(정보의 값어치가 아니라 패킷과 시간의 값어치를 말하는겁니다.)

화면 디스플레이정도가 느려지면 사용자는 당연히 돈이 든다고 생각을 합니다. 하물며 실제 정보량에 비해 HTML 코드자체와 이미지 크기는 방대하다는 거지요. 고객이 윈도우쇼핑을 하는 것만으로도 돈을 지불한다고(실제 ISP업체가 먹는거지요.) 생각하면 누가 인터넷 쇼핑몰을 이용하려하겠습니까?

심지어 쇼핑몰 운영하는 업체에서도 자기들에게 들어오는 돈은 없으면서 고객들이 사라져가는 것이지요. 그렇다고 모든 정보를 단순 텍스트화해서 만들 수 없지 않겠습니까? 일단 고객의 입장에서는 신용이 가지 않을 뿐더러, 텍스트만으로 영업이 가능하겠습니까?

그리고 메신저같은 P2P용 프로그램들이 사라질 수도 있습니다. 왜냐면 가만히 켜두어도 돈이 나가니까요. 시간도 시간이거니와, 메신저같은 경우는 접속목록을 갱신하기 위해서 데이터를 보낼테니까요. 주인허락 없이요. 채팅같은건 하지도 않겠죠. 돈이 아까우니까요.

이번에는 바이러스와 관련부분도 얘기해보겠습니다. 인터넷 사용량이 줄면 바이러스의 확산 속도도 줄겠지만, 그와 반대로 바이러스에 대한 대처도 발빠르지 못하다는 겁니다. 외국에서는 펑펑 바이러스를 만들어내어 뿌리고 있는 반면, 사용자들은 V3같은 프로그램을 사용한 다고 해도, 특별히 각성이 없는한 업데이트를 한다는 것은 무리입니다. 요즘 백신프로그램들은 자동업데이트를 하도록 되어 있는데, 이런 업데이트 조차도 돈이군요.

이제 교육이나 학술적인 부분을 볼까요? 대학생때 국내, 외국할 것 없이 자료를 찾으러 인터넷 서핑을 했던 적이 부지기수입니다. 하물며 이런부분은 학생신분이 아니더라도, 교육자, 회사인등 모든 분야에 걸쳐 필요한 부분일텐데.. 단지 돈때문에 정보의 창고를 썩히는 결과를 낳을 겁니다. 필요한 사람은 지불을 하고 찾을 수 있다라고 하더라도 실제 검색을 통해 얻는 자료중 자신의 원하는 자료는 다운로드를 받은 모든 패킷중의 일부에 지나지 않습니다. 감히 비교도 안돼는 데이터수의 차이지요. 실제 값어치가 지불한 비용보다 비쌀 수 있다지만, 그건 극히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고 생각됩니다.

인터넷 문화인 커뮤니티, 블로그 또한 활성이 위축되거나 존폐의 위기를 맞을지 모릅니다. 글을 쓰는 것도 돈이요. 글을 보는 것도 돈입니다. 누가 자신이 클릭한 글이 내용은 없고 소위 요즘 유행하는 "초딩 즐~"이라는 단 한 문장을 보기위해서 돈을 소비했다는게 억울 하겠지요. 제가 지금 이 게시판에 와서 이 글을 쓰는 것도 돈이거니와 민원이나 올리겠습니까? 게시판이 조용해졌으니 국민의 고통도 없을거라는 생각은 아니시겠지요?

이 정보통신부 게시판을 봐도 플래쉬에다가 테이블 백그라운드 색깔 지정을 위해 BGCOLOR="..." 또는 background-color:#... 이런 CSS 문자집합 모두가 돈이라는거죠. 보안모듈까는데도 시간이 걸리고, 순간 알수 없는 데이터량이 오가는데 글을 쓰기는 커녕 바로 BACK SPACE 버튼을 누르고 말겠습니다.
---------------------------------------

비싼 요금받아 몸키운 통신업체들 정통부, IT 투자독려위해 또 버팀목?

[한겨레] 업체 간담회뒤 초고속인터넷요금 '종량제' 첫 언급 진대제 정보통신부 장관은 지난 22 일 통신업체 사장들과 간담회를 열어, 정보기술(IT) 경기가 살아날 수 있게 투자를 늘려 달라고 요청했다. 정통부는 간담회 결과를 설명하면서 “케이티와 에스케이텔레콤 같은 주요 통신업체들 이 올해 투자하기로 한 6조7525억원 가운데 50.7%에 해당하는 3조4207억원을 상반기에 집행하기 로 했다”고 설명했다.

우리나라 정보기술(IT) 업체들은 매출의 상당부분을 통신업체의 투자에 의존하고 있다. 경기가 침체될 때마다, 정통부 장관이 나서서 통신업체들의 투자 확대를 독려하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통신업체들이 내는 막대한 이익의 원천은 비싼 통화요금이다. 그리고 비싼 요금제가 유지되고 있 는 것은 정통부라는 버팀목이 있기 때문이다. 이런 점을 감안하면 투자를 늘려 이익을 소비자에 게 환원하라는 정통부 요구는 당연한 것이다. 만약 지금처럼 통신업체들이 자기가 잘해 이익을 낸 것처럼 성과급 잔치를 하며 투자 확대 요구를 거절한다면, 정통부는 바람막이 구실을 그만하고, 적정 수준 이상의 이익을 내는 업체들에 요금 인하 명령을 해야 한다.

하지만 간담회 뒤 정통부와 통신업체들의 행태를 보면, 정통부가 통신업체 사장들 입에서 정부의 투자 활성화 요청을 수용하겠다는 대답을 얻어내기 위해 너무 많은 대가를 치르고 있다는 의심을 갖게 한다. 통신업체들이 소비자들의 권익을 침해하는 것까지 눈감아주기로 한 것 같은 의심도 든다.

실제로 정통부는 간담회 내용을 설명하면서 “현재 정액제로 돼 있는 초고속인터넷 요금의 부분 종량제 전환 요청을 받았다”며 “부분종량제 전환이 가능한지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정통부 가 초고속인터넷 요금의 종량제 전환을 공개적으로 언급하기는 처음이다.

케이티는 초고속인터넷의 가입자당 매출을 늘리는 수단으로 요금을 부과하는 방식을 부분종량제 로 전환하는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월 3만~4만원을 내면 무제한 쓸 수 있는 정액제와 달리, 부분종량제는 많이 쓰면 요금을 더 내게 한다. 하지만 지금까지는 시민단체와 소비자 쪽의 반발을 우려해, 부분종량제 도입을 드러내놓고는 말하지 못했다. 소비자들은 그동안 케이티의 부분종량제 도입 방침에 “요금을 올려 매출을 키우자는 발상으로, 인터넷 이용 활성화를 저해하는 부작용이 예상된다”며 반대해왔다.

그러나 정통부가 부분종량제 도입 검토를 언급한 뒤에는, 초고속인터넷 이용료의 종량제 전환을 기정사실화하는 분위기다. 도입시기까지 언급되고 있다. 정통부가 투자 활성화를 요청하면서 종량제를 허용하겠다는 언질을 준 것 아니냐는 의심을 갖게 한다. 이 때문에 정통부 장관과 통신업체 사장들의 간담회 내용을 공개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 한겨레 (http://www.hani.co.kr),

-------------------------------------------------------

초고속인터넷 요금 종량제 변경 추진  이용정도 따라 요금부과‥반발클듯

초고속인터넷 업체들이 요금제를 현재의 정액제에서, 이용하는 정도에 따라 요금을 달리 부과하는 종량제로 바꾸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케이티 고위관계자는 6일 “초고속인터넷 요금제를 종량제로 바꾸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며
“정액제는 적게 이용하는 가입자가 많이 쓰는 사람의 요금을 보조하는 문제를 안고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종량제 전환은 초고속인터넷 사업자들의 공통된 생각”이라며 “사업자별로 학계와 회사 전문가들로 연구반을 구성해 패킷 단위의 종량제와 다량 이용자를 위한 별도 요금제 등 다양한 종량제 시행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보통신부 산하기관인 정보통신정책연구원도 초고속인터넷 요금제의 종량제 전환 필요성을 제기 했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 김범준 연구원은 <정보통신정책> 최근호에 실린 `초고속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한 수익 창출 방안‘이란 논문을 통해 “종량제 개념의 다양한 초고속인터넷 요금제 상품 도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현행 정액 요금제로는 사업자들이 수익을 창출하기 어려워,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인터넷 데이터량(트래픽)에 맞춘 통신망 설비 증설을 기대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인터넷 이용자들은 종량제 도입에 반대하고 있어, 추진 과정에서 적잖은 저항이 예상된다. 대학생 이상국(22)씨는 “정액제 요금으로 소비자를 대거 끌어들여 인터넷을 무제한 이용하도록 훈련시킨 뒤, 요금제를 종량제로 바꿔 소비자들의 주머니를 털겠다는 발상”이라고 지적했다.

정통부 관계자는 “사업자들의 처지는 이해하지만, 인터넷 이용 활성화 분위기를 위축시킬 수 있고, 소비자들의 반발도 예상돼, 종량제로 완전히 전환하는 것은 쉽지 않을 것 같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정보화시범마을부터 종량제를 도입해, 농어촌 네티즌들의 요금 부담을 줄여주는 방법으로 종량제에 대한 소비자들의 거부감을 줄이는 단계를 거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김재섭 정보통신전문기자 jskim@hani.co.kr

-----------------------------------------------------------------------


안이한 시대착오적 발상의 인터넷 종량제

kt가 내년 7월부터 인터넷 접속 요금을 종량제로 바꾼다고 한다. 실제 인터넷 종량제를 정부에서 도 인가할 방침인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는 자기들의 이익창출에만 급급한 시대를 역행하려는 정말 위험한 발상이 아닐 수 없다.

일본의 인터넷 산업이 형편없이 뒤쳐진 이유중 가장큰 이유가 저속에 비싼 접속요금에 있다는것을 상기해 본다면 간단히 이해가 되리라 생각한다. 전 트래픽의 80%를 상위 20%의 유저가 사용하고 있어 일반 유저들 에게는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엉뚱한 통계를 내밀고 있지만 과연 이것은 누가낸 통계이며, 공신력은 어느정도 인가?

현재 인터넷의 추세를 보면 보다 비쥬얼적이고 화사한 플러그인이나 이미지등이 많아져 가고 있다. 그러나 종량제를 실시 하게되면 가능하면 텍스트위주의 따분한 인터넷 공간이 되가리라 생각이 든다. 당연히 유저 입장에서 보면 불필요한 정보가 많은 사이트는 기피 하게될것 아닌가?

유저가 오지 않으면 당연히 사이트 유지를 위하여 그래픽이나 플래시같은 플러그인을 홈페이지에서 줄여가야하는 관리자의 입장은 난감하지 않을 수 없으리라. 또한 개발자들도 앞으로 대량의 트래픽을 유발할 소지가 있는 프로그램이나 컨텐츠는 개발 하지못하게 될것 아닌가?

과거 일본의 비싼 요금덕에 일본의 홈페이지는 거의 텍스트 위주의 홈페이지가 태반이다. 이게 당연시 되어왔기에 일본인 입장에서는 당연히 텍스트 위주의 홈페이지가 정상적으로 보일지 모르나 다른나라 사람들의 눈에는 한참 후진 사이트란 인상을 주게 된다. 또한 설득력이 떨어져 기업에서는 큰 효과가 없으니 홈페이지 관리를 소흘히 하고 기업이 홈페이지 관리를 소흘히 하면 유저의 증가는 요원하며 증가하지 않는 유저 때문에 기업은 더욱 홈페이지 컨텐츠 개발에 소극적이 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빈곤의 악순환은 계속 되어 버린다.

허나, 한국의 인터넷 기반산업은 대개 초고속 통신망에 정액제 인터넷 구조를 가지고 발전 성장해 왔다. 그런데 인터넷 종량제를 실시하면 인터넷 산업 근간 자체를 무너뜨리고 모든 IT기업 수렁에 빠뜨릴 매우 위험한 발상 이며 시대착오적이란 생각이 든다.

새로운 서비스나 기술개발을 하여 이익을 창출할 생각을 하지 않고 기존유저의 등골을 짜서 자기의 배를 불리려 하는 kt의 생각과 안이하게 이를 두둔하는 정통부의 관리들은 각성을 해야 할것이다.

하나의 회사의 이익을 대변하기 위하여 모든 인터넷 관련 사업체를이 망해도 된다는 생각인가? 또한 종량제로 바뀌어도 천편일률 전 프로바이더가 바뀌지 않는 한 다른 업체로 이동을 유도해 kt 유저감소와 더블어 자폭하게될 거란 생각을 해야될것이다.

작금 대통령 탄핵이다 총선이다 하여 모든 관심이 그쪽으로 쏠려 이 중요한 사안이 공론화 또는 여론의 주목을 받지 못해 안타깝다. 세계에 내놓아도 손색이 없는 자랑스런 대한민국 인터넷 관련 사업들과 기술들이 한 기업의 엉뚱한 발상과 무능한 정통부 관리들에 의하여 뿌리채 고사할지 모르는 대단히 중요한 사안임에도 불구하고 너무 무관심들 하다.

필자는 당장 종량제가 되어 인터넷 접속요금이 1/10이 된다고 하여도 절대 찬성을 하지 못할것이다. 이는 지금 이대로 큰 부담이 되지 않을뿐더러 종량제로 하여 관련 산업이 황폐해 질것은 불보듯 뻔히 보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kt는 새로운 수익모델을 요금 가지고 만들려 하지말고 새로운 기술 새로운 커텐츠에서 찾아야 할것이다.

또한 정통부도 안이한 생각을 당장 치우고 다시한번 심사숙고 해야될 것이다. 결국 종량제는 일부 접속업자의 배만 부르게 할 뿐이기에...

제발 kt고 정통부고 눈앞의 이익을 위하여 일본의 전철을 밟는 아둔한 생각은 버려야 한다

출처 : http://www.bcpark.net

서명하러 가기 → http://bcpark.net/sign/sread2.html?num=7
추천16 비추천0

댓글목록

profile_image

신동관님의 댓글

신동관이름으로 검색 아이피 (61.♡.210.181) 작성일

  이런 십잘놈들의 세기들....<br />
<br />
사기군들 아니여......인터넷 요금을...좃랄하고

profile_image

mickey mouse picture님의 댓글

mickey mouse pi…이름으로 검색 아이피 (222.♡.192.193) 작성일

제목 : <a href='http://urlslist.info/l/mickey-mouse-picture.html' target='_tb'><u>mickey mouse picture</u></a><br />
mickey mouse picture intro <a href='http://urlslist.info/l/mickey-mouse-picture.html' target='_tb'>more..</a><br />
<font color=#BC593B>이 글은 트랙백 글입니다.</font>

profile_image

pussy shaved woman님의 댓글

pussy shaved wo…이름으로 검색 아이피 (222.♡.192.193) 작성일

제목 : <a href='http://video4freee.info/big/pussy-shaved-woman' target='_tb'><u>pussy shaved woman</u></a><br />
Eye of pussy shaved woman <a href='http://video4freee.info/big/pussy-shaved-woman' target='_tb'>more..</a><br />
<font color=#BC593B>이 글은 트랙백 글입니다.</font>

profile_image

dvd empire gay님의 댓글

dvd empire gay이름으로 검색 아이피 (222.♡.192.193) 작성일

제목 : <a href='http://hottseks.info/dir/dvd-empire-gay' target='_tb'><u>dvd empire gay</u></a><br />
Modern view of dvd empire gay. <a href='http://hottseks.info/dir/dvd-empire-gay' target='_tb'>more..</a><br />
<font color=#BC593B>이 글은 트랙백 글입니다.</font>

profile_image

golds gym location님의 댓글

golds gym locat…이름으로 검색 아이피 (222.♡.192.193) 작성일

제목 : <a href='http://hotwetbabez.info/load/golds-gym-location' target='_tb'><u>golds gym location</u></a><br />
Approved articles about golds gym location. <a href='http://hotwetbabez.info/load/golds-gym-location' target='_tb'>more..</a><br />
<font color=#BC593B>이 글은 트랙백 글입니다.</font>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구구콘닷컴 / 대표 : 심정운
주소:충북 청주시 상당구 무심동로86 103-1103
사업자 등록번호 : 815-01-80465
전화 : 010-2273-7047 카톡 : cj99con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심정운

접속자집계

오늘
2,212
어제
3,394
최대
10,194
전체
629,479
Copyright © 99con.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