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보드 SATA 관련 질문입니다. > 자유게시판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자유게시판

메인보드 SATA 관련 질문입니다.

페이지 정보

본문

안녕하세요?
컴퓨터 사용하는데 모르는 점이 많아서 문의글 올립니다.

SATA관련 질문입니다.
========================

1. eSATA 지원된다는 말이 없는 메인보드는 eSATA 브라켓을 구입하여 장착해도 eSATA 기능을 쓸 수 없나요?
2. 메인보드에서 eSATA 기능을 쓰려면 eSATA PCI를 구입/장착해서 사용해야 하나요?
3. SATA 2 지원 메인보드는  SATA1  브라켓을 쓰면 외장하드 인식오류가 있나요?
--------------------

<사양 및 증상>
메인보드 모델은 기가바이트 GA-G31M-ES2L  입니다. eSATA  지원은 안 된다고 인터넷에 나오더군요.
저는  꽂는 부분만 없는 것이라고 해석했습니다.  외장하드로 파일 옮길 때 USB로는 속도가 느린 편이지요. 
외장하드가 eSATA 지원한다는데 이 기능을 쓰고 싶더군요.
그래서 SATA → eSATA 로 해주는 브라켓을 구입하여 본체에 달았습니다.
sata 꽂는 부분에 이 브라켓만 연결하면 eSATA 기능이 작동될 줄 알았어요. --;;

그런데 외장하드 eSATA 상태에서 인식을 안하네요. 해당 외장하드 USB는 인식을 하는데요. eSATA는 인식을 안 해요.
부팅하고 컴퓨터에 eSATA 케이블을 연결했는데 윈도우상에서 딱 한번 인식을 했고요, 그 다음부터 인식을 안 합니다. --;;
==========================

4. 윈도우XP를 설치한 상태에서 AHCI 모드로 설치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사양 및 증상>
저는 SATA 하드 2개, IDE DVD롬 1개 사용중입니다. CMOS에서
IDE Channel0 Master/Slave
IDE Channel2 Master/Slave,
IDE Channel3 Master/Slave 이런 식으로 나옵니다.

인터넷 어떻게 찾아보니까 AHCI 모드를 설치한다면 데이터 전송속도를 높일 수 있다고 하는데요.
제꺼는 SATA 케이블로 연결되었는데도 기본(IDE)모드 인가 그렇습니다.( 윈도우 제어판-장치관리자 보니까 AHCI인가 이런 말은 없고 IDE 만 있네요.) 참고로 제 CPU는 인텔제품)입니다.

Chipset

Detected Chipset:

Intel(R) G33/G31 Express Chipset

Chipset Components

Memory Controller:

Intel(R) 82G33/G31 Memory Controller Hub

I/O Controller:

Intel(R) 82801GB/GR I/O controller hub (ICH7/ICH7R) SATA Controller found in IDE mode



인터넷 검색해보니 윈도우 설치 전에 AHCI 모드로 설치해야 한다고 그러는데요.
메인보드 사용설명서를 보면, 윈도우 설치후, 메인보드 CD에 들어있는 파일을 설치하라고 하는군요. --;;

AHCI 모드로 설치하려면 윈도우 재설치 해야 하나요?
===============================

5. DVD 멀티(IDE형) 보다는 DVD 멀티(SATA)형이 쓰기/읽기속도가 더 빠른가요? 아니면 읽기속도만 빠른가요?
네로프로그램을 쓰다보면 파일을 굽기 직전 데이터를 확인할 것인지를 묻는 체크란이 있더군요. 그런데 은근 느립니다.
현재 DVD 멀티 IDE 형을 사용중인데요. SATA 형으로 사용하면 데이터 확인속도가 빨라지나요?


긴 글 읽어주셔서 고맙습니다. ^^
추천0 비추천0

댓글목록

profile_image

라면땅.~님의 댓글

no_profile 라면땅.~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아이피 (210.♡.125.132) 작성일

1. e-sata 브라켓이란건 PCI카드를 말씀하시는거죠? 당연 사용하실 수 있죠.<BR>2.1번답변으로..<BR>3.브라켓이란건 없고요 요즘엔 sata2만 나온단 가정하에.. 사타2하드 커넥터부분 핀4개가 있습니다.. 대부분.<BR>&nbsp;&nbsp; 12번에 점퍼를 꽂아 쇼트시키면 사타1으로 작동합니다. 자동인식되는것도 있어요.<BR>&nbsp;&nbsp; 사타2를 사타1보드의 사타커넥터에 연결했을경우 사타1으로 작동하는것도 봤거든요.<BR>&nbsp;&nbsp; 사타2하드를 사타1메인보드에 꽂을땐 점퍼를 이용하여 사타1으로 바꾸고 사용하세요.<BR>4.제 생각입니다만.. 궂이 그렇게까지 써야할 이유가.. 있으신가요???<BR>&nbsp; 일단 그렇게 하시려면 c-mos상에서 S-ATA를 AHCI(이하 '아치')모드로 변경설정 하시구요.<BR>&nbsp; winXP CD와, FDD와 아치 드라이버파일(요건 마이크로소프트인가,, 메인보드제조사쪽인가 구해오셔야해요)이 담긴 디스크<BR>&nbsp; 준비하신후.. winXP 설치중 F6번인가 누르라고나옵니다. 퍼런창에 설치파일셋팅중.. 초기단계에서요.<BR>&nbsp; F6번 누르면 드라이버 읽어 오는메뉴등이 나오는데.. 그때 FDD가 필요합니다. 그래서 아치모드 드라이버를<BR>&nbsp; 등록시켜준 후 윈도설치 시작해야 가능합니다. 저도 인터넷에서 잠시 읽은것을 말씀 드리는것이구요<BR>&nbsp; 자세한건 검색하시면 어렵지 않게 정보 구할 수있습니다.<BR>&nbsp; 단, 메인보드에서 c-mos상에서 아치모드 선택메뉴가 있어야겠죠?<BR>&nbsp; 그리고, 재설치하지 않고도 할 수 있다고는 했던것(!) 같은데요.. 어렵다고합니다. 윈도우 반드시 재설치 하시는게 좋죠.<BR>&nbsp; 속도문제라면 차라리 10,000rpm짜리 하드나 스카시를 쓰시져... 아님 아치모드 기본제공되는 윈7로 고고씽~<BR>5.DVD-RW... ide냐 sata냐... 글쎄요 제가보기엔 기기의 성능문제이지 인터페이스문제는 별반차이 없다고 봅니다.<BR>&nbsp;&nbsp; 광학적으로는 미세한차이야 당연히 있겠지만 사람이 느끼기엔.. 그게 그거인듯합니다.<BR>&nbsp;&nbsp; ide-dvd멀티만써왔는데 pc 바꾸면서 ide커넥터가 사라지면서 자연히 sata로 넘어 왔죠.<BR>&nbsp;&nbsp; 근데 차이는 못느낍니다. 다만, 엘지나 삼성꺼보다 파이오니아가 조용하다해서 몇천원인가 1만원인가 더 투자해서<BR>&nbsp;&nbsp; 파이오니아 정품으로 바꿨는데.. 역시 좋더군요. ㅋㅋ<BR><BR>더 없나요??<BR>허접답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profile_image

콩이 좋아^^님의 댓글의 댓글

no_profile 콩이 좋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아이피 (221.♡.214.61) 작성일

[라면땅]님 덧글남겨주셔서 고맙습니다. 도움되었습니다. ^^<BR><BR>저 그런데 브라켓이라는게 요거 입니다. 사진 올릴게요. 왼쪽 제품 3000원 주고 구입한 건데요.<BR><BR><IMG alt="SATA - ESATA 변환 브라켓 1Port-3000원.jpg" src="files/attach/images/167672/567/327/001/SATA%20-%20ESATA%20변환%20브라켓%201Port-3000원.jpg" editor_component="image_link">&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IMG alt="SATA(ESATA) 2포트 PCI 카드(SI) -24000원.jpg" src="files/attach/images/167672/567/327/001/SATA(ESATA)%202포트%20PCI%20카드(SI)%20-24000원.jpg" editor_component="image_link"><BR>왼쪽 제품이 제가 구입한 것이고요. 오른쪽 PCI카드는 아직 구입 안 했습니다.&nbsp;&nbsp;<BR>오른쪽 제품 설치 안 해도 왼쪽 제품만 있으면&nbsp; esata 지원되는건가요?&nbsp; esata 미지원 메인보드에서요.

profile_image

윤님님의 댓글의 댓글

no_profile 윤님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아이피 (218.♡.190.182) 작성일

미지원 메인보드에서 쓸 수 있습니다.<BR><BR>하지만, 젠더를 이용해 연결만 한다고 그 성능을 다 끌어올 수 있는 건 아니에요. <BR>예를들면 SATA II 를 사용할 때 Operation system이 64bit가 아니면 SATA I과 퍼포먼스의 차이가 거의 없듯이, &nbsp;ESATA도 최적의 성능을 발휘하려면 Operation system level에서 required 가&nbsp;존재합니다. 그리고 hardware 에서도 supported되는 mother&nbsp;board가 아니기에 체감되는 성능향상이 없을 거고요.&nbsp;&nbsp;&nbsp;

profile_image

콩이 좋아^^님의 댓글의 댓글

no_profile 콩이 좋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아이피 (221.♡.214.61) 작성일

[윤님]! 덧글남겨주셔서 고맙습니다. ^^ 말씀해주신대로 미지원 메인보드에서 쓸 수 있긴 있더군요.&nbsp; ^^<BR><BR>그런데 제가 왼쪽 제품을 설치한 다음 윈도우 상에서&nbsp; eSATA케이블로 연결해보니까 외장 하드 인식이 안 됐어요.<BR><STRONG>그래서 eSATA와 연결된 외장하드를 먼저 켜놓고 → 그 다음에 본체 전원을 켜니까 그제서야 인식이 됩니다,. ^^;;<BR></STRONG>그런데 usb 방식과는 달리 eSATA 외장하드를 그냥 끄면 데이터가 날라갈 수 있다고 하네요.<BR>usb 방식처럼 usb 제거 창도 안 뜨구요. <BR>안전하게 eSATA 외장하드 제거방법은 본체 끈 다음에 외장하든 끄는 것! 그런데 불편한 편이죠.<BR>인터넷에 찾아보니까 hot swap 이라는 프로그램이 있더군요. &lt;usb 제거&gt;프로그램처럼 쓸 수 있는 거라고 하네요.<BR>저는 윈도우XP써서 다른 OS는 어떻게 되는지 모르겠습니다.<BR><BR>외장하드에 eSATA케이블 연결할 때가 &nbsp;usb케이블 연결할 때보다&nbsp; 속도가 조금 빠른 것 같네요. ^^

profile_image

라면땅.~님의 댓글의 댓글

no_profile 라면땅.~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아이피 (58.♡.82.155) 작성일

<P>아마도 제대로된 e-SATA 연결해서 써보신다면 조금 빠른것이 아닌 무쟈게 빠르단걸 알 수 있어요.. ^.^</P>
<P>요즘 노트북은 대부분 기본탑재되어 있는데... 기회되면 한번 써보세요... 속도는 정말 잘나옵니다.</P>

profile_image

BK8471님의 댓글

no_profile BK8471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아이피 (112.♡.162.249) 작성일

e-sata랑 USB연결을 같은 수준선에 두고 생각하시면 계속 혼란이 오죠....<BR>USB연결은 잘 아실것이고....<BR>e-sata는 그냥 PC뚜껑 열고 HDD를 넣는것과 같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단지 HDD가 본체 바깥에 있다는 게 다른죠...<BR>PC ON상태에서 HDD관련 작업하시는 분은 없죠... 같은 수준입니다. <BR>사족)HDD추가하려면 HDD달고 나서 PC본체 전원 켜주는게 보통의 순서이죠.역시 같은 수준입니다.

profile_image

라면땅.~님의 댓글의 댓글

no_profile 라면땅.~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아이피 (58.♡.82.155) 작성일

<P>&nbsp;전원 켜져있는상태에서 케이스 Open하고 사타하드 그냥 붙여도 사타는 인식 합니다.. ^.^<BR></P>
<P>몇번 그랬었지만.. 이젠 안전하게 연결하려고 귀찮아도 OFF시에만 연결 하죠.. ㅋㅋ<BR><BR>e-SATA는 연결시 전원 Off시에 연결하고 PC On해야 인식 되는게 맞구요...</P>

profile_image

렙업중님의 댓글의 댓글

no_profile 렙업중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아이피 (59.♡.193.236) 작성일

제가 e-SATA 를 쓰고 있습니다<BR>IDE 의 경우 PC OFF 하고 하드 연결해야 하지만<BR>SATA 또는 e-SATA 는 PC ON 상태에서 연결해도 됩니다<BR>마치 USB 연결하는 거처럼 쓰면 되는 겁니다<BR>글 쓰신분이 알고자 하는것은 PC ON 상태에서 e-SATA 를 연결 했는데 연결이 안된다는 것입니다<BR>그 이유는 저도 모르겠네요<BR>한가지 의심스러운 것은 어떤 보드에선 SATA1, SATA2 지원포트가 따로 있는게 있습니다<BR>혹시나 SATA1 포트에 e-SATA 를 연결하면 그렇게 될수도 있습니다<BR>하드는 SATA2 인데 SATA1 포트에 연결하면 그렇게 되더군요(제가 경험했음)<BR>이땐 SATA 연결포트를 변경해 보시고<BR>그래도 안되면 e-SATA 하드를 SATA1 으로 점퍼 셋팅해보심이..

profile_image

콩이 좋아^^님의 댓글의 댓글

no_profile 콩이 좋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아이피 (221.♡.214.61) 작성일

<P>저도 기회가 되면 제대로된 e-SATA 외장하드 써 봐야겠네요. ^^</P>
<P>e-sata 케이블 연결시 &lt;컴퓨터 전원 켜기 전에, 본체와 케이블 연결한 후에 컴퓨터 전원 켜는 것&gt; 재확인했네요.&nbsp; 좋은 정보 고맙습니다. ^^</P>
<P>&nbsp;</P>

profile_image

콩이 좋아^^님의 댓글의 댓글

no_profile 콩이 좋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아이피 (221.♡.214.61) 작성일

[렙업중]님! 덧글 남겨주셔서 고맙습니다. ^^<BR>제가 갖고 있는 컴퓨터 ON 된 상태에서 외장하드(SATA2)와 본체와 연결된 <BR>esata 브라켓(사진 왼쪽 브라켓은 SATA1(1.5G 전송) 케이블이라고 나와 있네요)과 연결했더니 외장하드(SATA2)가 인식이 안 됩니다.<BR>[렙업중]님이 말씀하신 것처럼 저도 같은 증상입니다.&nbsp; 혹시나 해서 왼쪽사진 브라켓과 eSATA케이블 각 2개씩 구입했는데 둘다 그런 증상입니다. <BR>메인보드 SATA 포트 위치를 바꿔봐도 인식이 안 돼요. 딱 한번 인식됐는데 그 후로 인식이 안 돼요. 새하드 망가질까봐 컴퓨터 on상태에서 연결하는 건 접어두기로 했어요. ^^;;<BR><BR>그런데 컴퓨터 OFF 한 상태에서는 정상인식하고요.&nbsp;<BR><BR>구입한 거니까 일단 써보고요. <STRONG><FONT color=#2222ee>다음에 기회있으면 SATA2케이블로 구성된&nbsp;브라켓을 구입해봐야겠네요. ^^</FONT></STRONG>

profile_image

태라님의 댓글

no_profile 태라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아이피 (121.♡.104.229) 작성일

대단한 내공들을 가지셨군요...부럽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구구콘닷컴 / 대표 : 심정운
주소:충북 청주시 상당구 무심동로86 103-1103
사업자 등록번호 : 815-01-80465
전화 : 010-2273-7047 카톡 : cj99con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심정운

접속자집계

오늘
1,455
어제
2,557
최대
10,194
전체
593,402
Copyright © 99con.com All rights reserved.